오토 미션 즉, 자동 변속기 차량은 보통 가는 것과 서는 것 이 2가지로 사용합니다. 수동 변속기처럼 운전자가 직접 단수를 바꾸지 않습니다. 하지만 겨울철에는 엔진 브레이크가 필요할 때가 있는데요. 사용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엔진 브레이크의 필요성
'블랙 아이스'라고 들어 보셨나요? 겨울이 되면 뉴스에 종종 사고 영상과 함께 등장하는 말인데요. 도로가 눈이나 비로 인해 눈에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살짝 얼은 경우를 말합니다. 아예 눈이 쌓여 있거나 하면 미리 조심을 하겠는데 블랙 아이스는 알아 차리는 순간 이미 늦습니다.
앞에 블랙 아이스가 있다는 것은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로 미끄러지는 순간에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대부분 급 브레이크를 밟아 서려고 하는데요. 이때 풋 브레이크를 잡게 되면 타이어가 멈춘 상태로 미끄러져 가기 때문에 차량의 조향력을 상실하고 통제 불능의 상태가 되어 버립니다.
블랙 아이스 뿐만 아니라 겨울에는 눈길에서도 급 브레이크는 금물인데요. 이유는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사실 풋 브레이크는 눈길에서만 위험한 것은 아닙니다. 여름이라 해도 비가 오고 있어 도로에 수막이 형성되는 때에도 타이어와 도로 사이에 마찰력이 감소해서 미끄러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렇게 타이어가 멈춘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것은 통제력을 상실해 자칫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물론 사전에 서행을 해야 겠지만 브레이크도 엔진 브레이크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바퀴는 멈추지 않은 상태에서 속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풋 브레이크 보다 빙판길 등 미끄러지기 쉬운 상황에서 효과적입니다.
엔진 브레이크 잡는 법
수동 변속기를 운전해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수동은 내가 기어 단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속도가 높은 상태에서도 2단 1단으로 강제 변속을 하게 되면 급정거처럼 속도가 급격히 줄게 됩니다.
하지만 오토 미션은 차량의 속도에 맞추어 변속기가 단수를 조절하기 때문에 내맘대로 바뀌지는 않죠. 물론 브레이크를 밟아 속도를 줄이면 변속이 맞춰서 되나 지금 얘기는 브레이킹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감속을 하는 것이므로 상황에 맞지 않습니다.
자동 변속기도 수동 전환 기능이 대부분의 차량에 있습니다. 보통은 변속기 박스에 보면 조정 스틱이 있고 그 옆으로 P, R, D, N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자세히 보면 + , - 표시도 함께 있죠. 기어 레버를 이 + - 표시 쪽으로 제끼면 이제 변속기는 수동변속기로 변신하는 겁니다.
수동으로 전환하면 계기판에 기어 표시가 기존에 D 표시에서 숫자로 바뀝니다. 만약 엔진 브레이크가 필요하다면 이 상태에서 기어 레버를 - 쪽으로 한번씩 당겨 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현재 5단으로 주행하고 있다면 한번 당기면 4단이 되고 두 번 당기면 3단이 되는 식입니다. 그러면서 속도 역시 줄게 되죠.
패들시프트가 장착된 차량도 있습니다. 핸들에 보면 9시와 3시 방향으로 토끼 귀처럼 위로 튀어 나와 있는 레버가 보이는데요. 이런 차량은 기어 박스에 + , - 표시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패들시프트 장착 차량은 이 패들시프트를 운전자 몸쪽으로 댕기면서 조절하게 됩니다.
정리
분명한 것은 겨울철 운전 시에 서행은 필수 입니다. 그리고 눈길 빙판길에서 급브레이킹은 금물이고요. 위급한 상황에서는 어쩔 수 없겠지만 눈길이나 빙판이 우려되는 기에서는 감속이 필요할 경우 되도록이면 엔진 브레이크로 속도를 줄이는 것이 최소한의 안전을 위한 노력이 되겠습니다.
'골프와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에어컨 냄새, 없애는 효과적인 방법 5가지 (0) | 2024.04.05 |
---|---|
서울 근교 수도권 셀프정비소 위치 리스트 정리 (0) | 2024.03.12 |
알리에서 산 저렴한 타이어 공기압 주입기, 12달러 후기 (2) | 2023.12.30 |
기아 유보(uvo) 먹통, 오류, 원격시동 실패 시 해결 방법 (2) | 2023.12.29 |
광군제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사 놓아야 할 자동차 다이 용품 7가지(프로모션 할인 코드) (0) | 2023.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