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돈 되는 정보23

생명 보험금 수령과 상속세 (과세되는 경우와 안되는 경우) 부모님이 돌아가시고 상속으로 재산을 물려받게 되면 상속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보통은 10억이 되지 않으면 세금은 없다고 하는데 이 10억 안에 생명 보험금은 들어갈까? 오늘은 돌아가신 부모님의 보험금을 수령하는 경우 상속세 과세 대상 여부에 대해 알아봅니다. 상속세 과세 대상 보험금 상속세가 과세 되는 재산은 상속재산가액이라고 하여 피상속인(사망하신 분)이 가지고 있던 국내외 소재한 모든 재산을 말합니다. 이 때 상속재산가액은 본래의 상속재산과 상속재산으로 보는 재산(간주상속재산)으로 나누게 됩니다. 본래의 상속재산은 우리가 쉽게 알고 있는 주택이나 토지, 주식 등 일반적으로 소유하고 있던 자산들이고 간주상속재산이란 보험금이나 신택재산 퇴직금 등 사망을 원인으로 사후 지급되는 자산들을 의미합니다. 이 .. 2024. 2. 1.
부가가치세 무실적 신고 홈택스에서 하는 방법(feat. 무실적 신고하면 안되는 경우) 매년 1월과 7월은 부가가치세 신고 달입니다. 사업자라면 누구나 해야 되는 신고이긴 하지만 매출 매입이 없는 사업자는 해야 되나 고민이 됩니다. 오늘은 홈택스에서 부가세 무실적 신고를 하는 방법과 하면 안되는 경우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무실적 신고란? 면세사업자를 제외하고 과세사업자라면 누구나 부가세 신고는 해야 합니다. 그런데 평소 사업자는 내놓고 실제 사업을 하지 않아 매출이 없는 사업자는 굳이 부가가치세 신고를 해야 되나라는 의문을 갖게 됩니다. 번게 없으니 세금도 없을거고 따라서 신고를 하지 않아도 불이익은 없을 것이라 생각하고 귀찮게 신고까지 할 필요는 없을 거라는 생각과 그래도 사업자 등록이 있으니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는 해야 합니다. 만약 실적이 없다면 무실적으.. 2024. 1. 16.
접대비의 비용 처리 방법과 적격증빙(feat. 3만원, 경조사비) 사업을 하시는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종합소득세에서 비용 처리할 때 접대비는 유독 까다롭습니다. 3만원이 넘으면 반드시 적격증빙을 받아야 한다고도 하고 또 경조사비는 적격증빙이 없어도 된다고도 하는데 헷갈립니다. 접대비 vs 광고선전비 일단 먼저 접대비라는 것이 뭔지를 알아야 하는데 아마도 별도 설명이 없어도 잘 아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런데 성격이 비슷한 비용 항목 중에 광고선전비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부분을 잘 구분할 수 있어야 문제 없이 잘 처리가 될 것인데요. 이 두 항목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누구에게 제공이 되느냐에 있습니다. 만약 판매를 원활히 할 목적으로 선물을 구입하여 거래처 직원들에게 제공한다면 이것은 접대비에 속합니다. 하지만 같은 선물을 거래 관계 없는 불특정 다수에게 제공.. 2023. 10. 28.
2023년 하반기부터 달라지는 세금 (개정세법,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등) 매년 세법은 개정됩니다. 보통은 1월부터 바로 적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연도 중에 시행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올해 하반기부터 적용되는 달라진 세금에 대해 기획재정부에서 발간한 '2023년 하반기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를 근거로 알아봅니다. 1. 신용카드 소득공제에 영화관람료 추가 2023년 7월부터 연말정산에서 적용하는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대상에 영화관람료 지출분을 공제율 30%로 적용합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율은 15%에서 최대 80%까지도 있는데 그중 30% 적용 항목에 기존 도서 공연 미술관 박물관 등이 있었는데 여기에 영화관람료도 추가되었습니다. 2. 고령가구의 연금계좌 추가납입 확대 1주택 고령가구가 보유 중인 주택을 팔고 매매가액이 낮은 주택으로 대체하는 경우 그 차액을 연금계좌에 납입하여.. 2023. 6. 30.
반응형